홍보_109.jpg

통일이 되어 남한과 북한이 평화롭게 살기 위해서는 남한 사람들은 북한 사회와 북한 사람들에 대하여 잘 알고, 북한 사람들은 남한 사회와 남한 사람들에 대해서 잘 아는 것이 필요합니다. 너무 오랫동안 떨어져서 살고 서로 교류가 없었기 때문에 남북한 사람들 간에는 오해도 많고, 편견도 많습니다. 여러분이 이렇게 북한학생들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알아나가려고 하는 것처럼, 북한학생들도 남한 사회와 여러분의 생활에 대해서 알아나갈 때, 다 함께 평화롭게 잘 사는 사회가 앞당겨 질 것입니다. , 그러면 북한에서는 남한 사회나 남한 사람들에 대해서 어떻게 가르칠까요?

 

남한사회에 대한 지식은 주로 지리과목을 통해서 습득합니다. 남한의 지리 교과서에 북부지방의 지형, 산업, 주민 생활에 대한 내용이 있는 것처럼, 북한의 지리 교과서에는 중부와 남부지방에 대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내용을 보면 현재 남한의 사회가 매우 문제가 많은 것처럼 소개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면 1998년에 출판된 중학교 3학년 지리 교과서를 보면 서울은 다음과 같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서울은 미제 침략자들과 남조선 괴뢰도당의 파쑈통치기구가 집결되어 있는 활동 소굴이며 식민지 통치의 아성으로 되고 있다....서울거리는 공장 굴뚝에서 나오는 연기와 가스, 자동차들에서 뿜어 나오는 배기가스 그리고 여러 공장들에서 나오는 악취 풍기는 썩은 물 등이 시내 공기와 뒤섞여 숨쉬기가 가쁘고 하얀 옷가지들은 인차 까맣게 변한다고 한다’.

 

학교에서 이렇게 가르치고 있기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남한사회가 정말 그런 것처럼 믿는다고 합니다. 그래도 일부 주민들은 남한이 북한보다 훨씬 잘 살고, 자유롭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해요. 일부지역에서는 중국을 통한 TV시청을 통해 북한사람들도 남한사회에 대해 점차 많은 것을 알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남한사람들의 건강한 모습과 입고 있는 옷만 보고도, 남한에서 굶는 사람이 많다는 말이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는 것입니다. 남한과 북한이 서로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는 이러한 자연스러운 정보교류가 매우 중요합니다. 서로 많이 만나다 보면 그동안 잘못 알고 있었던 여러 사실들도 바로 잡아질 것입니다.

조회 수 :
3002
등록일 :
2016.02.23
15:39:20 (*.129.188.143)
엮인글 :
http://www.snkycf.or.kr/xe/index.php?document_srl=49840&act=trackback&key=8ba
게시글 주소 :
http://www.snkycf.or.kr/xe/index.php?document_srl=4984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sort 추천 수 비추천 수 날짜
106 27. [교육내용] 북한에도 선택과목이란 것이 있나요? [레벨:20]관리자 2962     2016-02-23
 
105 30. [학교생활] 수업을 마치면 무엇을 하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972     2016-02-23
 
104 47. [학교생활] 학교에는 어떤 시설들이 있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975     2016-02-23
 
103 49. [가정생활] 북한 청소년들도 자기 공부방이 있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976     2016-02-23
 
102 40. [학교생활] 북한의 학교 선후배간의 관계는 어떤가요? [레벨:20]관리자 2977     2016-02-23
 
101 51. [가정생활] 집안형편과 출신성분과는 어떤 관계인가? [레벨:20]관리자 2979     2016-02-23
 
100 55. [일상생활] 북한 청소년들이 좋아하는 대중 연예인은 누구인가요? file [레벨:20]관리자 2981     2016-02-23
 
99 43. [학교생활] 학교에는 어떤 선생님들이 계신가요? file [레벨:20]관리자 2985     2016-02-23
 
98 17. [교육내용] 북한에도 체력장이 있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994     2016-02-23
 
97 54. [일상생활] 북한에는 어떤 청소년 단체가 있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994     2016-02-23
 
96 8. [교육제도] 북한에도 명문 학교가 있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995     2016-02-23
 
95 14. [교육제도] 학교는 몇 개나 있으며 한 학급당 학생 수는 몇 명인가요? file [레벨:20]관리자 2995     2016-02-23
 
94 56. [일상생활] 북한에도 청소년 심신 수련 시설이 있나요? [레벨:20]관리자 2995     2016-02-23
 
93 32. [학교생활] 북한 학생들은 어떻게 상, 벌을 받나요? [레벨:20]관리자 2998     2016-02-23
 
92 42. [학교생활] 담임 선생님은 어떤 일을 하시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998     2016-02-23
 
91 7. [교육제도] 북한에서는 영재교육을 어떻게 할까요? file [레벨:20]관리자 2999     2016-02-23
 
90 20. [교육내용] 북한 학생들도 컴퓨터를 배우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999     2016-02-23
 
89 19. [교육내용] 북한에서는 시험을 어떻게 보나요? [레벨:20]관리자 3001     2016-02-23
 
88 6. [교육제도] 방학은 언제하며 방학 동안에는 무엇을 하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3002     2016-02-23
 
87 37. [학교생활] 쉬는 시간에는 무엇을 하며 보내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3002     2016-02-23
 

list_1_22.jpg

chulpan.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