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보_109.jpg

 앞으로 남한과 북한의 교류가 활발해져, 남북한의 주민들이 자유로이 왕래할 수 있을 때가 오겠죠? 그때가 되면 여러분이 부모님의 직장을 따라 북한의 학교에 전학을 갈 수도 있고, 북한의 학생들이 남한의 학교로 전학 와서 여러분과 함께 생활할 수도 있을 겁니다. 그때 만일 지금 남한과 북한에서 쓰고 있는 교과서를 사용하면 여러분은 수업을 따라갈 수 있을까요? 북한의 교과서는 어떤지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북한 교과서는 우리와 비교해서 종이질도 떨어지고, 인쇄기술도 낙후되어 글자가 잘 보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사진이 칼라로 인쇄되어 있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북한의 교과서는 각 단원의 처음에 “김일성 교시” 나 “김정일 말씀” 이 먼저 나온 후 학습내용이 제시됩니다. 내용면에서도 김일성 · 김정일 부자를 찬양하는 내용이 많습니다.


 그리고 교과서에서 쓰는 용어도 우리와는 좀 다릅니다. 북한에서는 1960년대 중반부터 “문화어” 라고 하여 가급적이면 한자어와 외래어를 순수 한글로 바꾸는 작업을 했습니다. 그래서 지금 우리가 쓰는 단어와 북한에서 쓰는 단어가 다른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교과서에 쓰이는 단어 중에 몇 가지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남한의 단어

북한의 단어

수학

등식

같음식

부등식

안같음식

국어

지시대명사

가리킴대명사

외래어

돌아온 말

명령문

시킴문

역사

고분

무덤

몽유도원도

꿈에 본 동산

지리

평야

방풍림

바람막이 숲


 다음은 북한의 소학교 2학년 수학교과서에 실린 문제입니다. 함께 풀어볼까요?

noname01.png


 한가지 더 문제를 내 볼까요? 다음 수학문제는 북한의 중학교 3학년에 나오는 문제입니다.


noname01.png


 이게 무슨 뜻일까요? 모임의 사귐이라니요? 남한에서 “집합” 이라고 하는 것을 북한에서는 “모임” 이라고 하고, 남한에서 “교집합” 이라고 하는 것을 북한에서는 “사귐” 이라고 한답니다. 그럼 “합” 은 뭘까요? 그건 남한에서 “합집합” 이라고 하는 것이지요. 그러니까 위 문제는 남한 교과서의 용어로 바꾸면 “집합 A와 B의 교집합과 합집합을 구하라” 는 뜻입니다. 말뜻을 알면 쉽지요? 이렇게 말의 뜻을 몰라서, 남한 학생과 북한 학생이 같이 공부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수학뿐만 아니라, 국어, 역사, 지리 등 모든 분야에서 생겨날 수 있습니다. 이제부터라도 남북이 꾸준히 노력해서 교과서 용어부터 통일시키는 노력을 시작해야겠지요. 그리고 내용 이해를 돕기 위해 우리는 교과서에 사진이 삽입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북한은 대부분 삽화로 되어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86 59. [일상생활] 북한 청소년들에게 인기 있는 TV프로그램은 어떤 것들인가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4220
85 홈페이지 개편으로 홍보출판물에 관한 내용은 이 코너에 게시합니다. [레벨:20]관리자 2016-01-22 4034
84 5. 통일 시대에 가져야 할 바람직한 청소년의 자세는? [레벨:20]관리자 2016-02-23 4019
83 4. 우리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 알고 싶어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638
82 8. 북한의 가족관계도 남한과 비슷한가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607
81 12. 북한의 명절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606
80 18. 남북 철도·도로연결사업에 대해 알고 싶어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592
79 15. 북한의 인터넷 및 정보화 수준은 어느 정도 입니까?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590
78 6. 북한에서도 영재교육과 영어교육을 시키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585
77 7. 북한주민은 여행 또는 여가생활을 어떻게 즐기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581
76 13. 북한의 교육제도는 남한과 어떻게 다른가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580
75 9. 북한에도 시장이 있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579
74 17. 남북간 스포츠교류에 대해 알고 싶어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556
73 16. 남북간 청소년교류에 대해 알고 싶어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551
72 19. 통일비용과 통일편익에 대해 알고 싶어요. [레벨:20]관리자 2016-02-23 3550
71 14. 통일 후 예상되는 어려움에는 무엇이 있을 까요? [레벨:20]관리자 2016-02-23 3515
70 10. 북한에도 종교가 있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462
69 1. [교육제도] 북한 학생들도 유학을 갈수 있나요? [레벨:20]관리자 2016-02-23 3442
68 15. [교육제도] 북한의 학제는 어떻게 되어 있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396
67 11. 북한주민은 어떤 주택에서 생활하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358

list_1_22.jpg

chulpan.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