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보_109.jpg

 앞으로 남한과 북한의 교류가 활발해져, 남북한의 주민들이 자유로이 왕래할 수 있을 때가 오겠죠? 그때가 되면 여러분이 부모님의 직장을 따라 북한의 학교에 전학을 갈 수도 있고, 북한의 학생들이 남한의 학교로 전학 와서 여러분과 함께 생활할 수도 있을 겁니다. 그때 만일 지금 남한과 북한에서 쓰고 있는 교과서를 사용하면 여러분은 수업을 따라갈 수 있을까요? 북한의 교과서는 어떤지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북한 교과서는 우리와 비교해서 종이질도 떨어지고, 인쇄기술도 낙후되어 글자가 잘 보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사진이 칼라로 인쇄되어 있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북한의 교과서는 각 단원의 처음에 “김일성 교시” 나 “김정일 말씀” 이 먼저 나온 후 학습내용이 제시됩니다. 내용면에서도 김일성 · 김정일 부자를 찬양하는 내용이 많습니다.


 그리고 교과서에서 쓰는 용어도 우리와는 좀 다릅니다. 북한에서는 1960년대 중반부터 “문화어” 라고 하여 가급적이면 한자어와 외래어를 순수 한글로 바꾸는 작업을 했습니다. 그래서 지금 우리가 쓰는 단어와 북한에서 쓰는 단어가 다른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교과서에 쓰이는 단어 중에 몇 가지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남한의 단어

북한의 단어

수학

등식

같음식

부등식

안같음식

국어

지시대명사

가리킴대명사

외래어

돌아온 말

명령문

시킴문

역사

고분

무덤

몽유도원도

꿈에 본 동산

지리

평야

방풍림

바람막이 숲


 다음은 북한의 소학교 2학년 수학교과서에 실린 문제입니다. 함께 풀어볼까요?

noname01.png


 한가지 더 문제를 내 볼까요? 다음 수학문제는 북한의 중학교 3학년에 나오는 문제입니다.


noname01.png


 이게 무슨 뜻일까요? 모임의 사귐이라니요? 남한에서 “집합” 이라고 하는 것을 북한에서는 “모임” 이라고 하고, 남한에서 “교집합” 이라고 하는 것을 북한에서는 “사귐” 이라고 한답니다. 그럼 “합” 은 뭘까요? 그건 남한에서 “합집합” 이라고 하는 것이지요. 그러니까 위 문제는 남한 교과서의 용어로 바꾸면 “집합 A와 B의 교집합과 합집합을 구하라” 는 뜻입니다. 말뜻을 알면 쉽지요? 이렇게 말의 뜻을 몰라서, 남한 학생과 북한 학생이 같이 공부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수학뿐만 아니라, 국어, 역사, 지리 등 모든 분야에서 생겨날 수 있습니다. 이제부터라도 남북이 꾸준히 노력해서 교과서 용어부터 통일시키는 노력을 시작해야겠지요. 그리고 내용 이해를 돕기 위해 우리는 교과서에 사진이 삽입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북한은 대부분 삽화로 되어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86 59. [일상생활] 북한 청소년들에게 인기 있는 TV프로그램은 어떤 것들인가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4220
85 58. [일상생활] 북한 청소년들이 즐겨보는 만화영화는 무엇인가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016
84 57. [일상생활] 북한 청소년들을 위한 문화시설로 어떤 것이 있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120
83 56. [일상생활] 북한에도 청소년 심신 수련 시설이 있나요? [레벨:20]관리자 2016-02-23 2995
82 55. [일상생활] 북한 청소년들이 좋아하는 대중 연예인은 누구인가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2979
81 54. [일상생활] 북한에는 어떤 청소년 단체가 있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2993
80 53. [일상생활] 북한에서는 왜 단체생활을 강조하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001
79 52. [가정생활] 가정에서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는 어떤가요? [레벨:20]관리자 2016-02-23 3020
78 51. [가정생활] 집안형편과 출신성분과는 어떤 관계인가? [레벨:20]관리자 2016-02-23 2978
77 50. [가정생활] 북한 청소년들은 어떻게 집안일을 돕나요? [레벨:20]관리자 2016-02-23 3011
76 49. [가정생활] 북한 청소년들도 자기 공부방이 있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2976
75 48. [학교생활] 학교에서의 하루 일과는 어떻게 짜여져 있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003
74 47. [학교생활] 학교에는 어떤 시설들이 있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2974
73 46. [학교생활] 교실은 어떻게 생겼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009
72 45. [학교생활] 교복과 머리모양은 어떤가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007
71 44. [학교생활] 학교 연중행사는 무엇 무엇이 있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2999
70 43. [학교생활] 학교에는 어떤 선생님들이 계신가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2985
69 42. [학교생활] 담임 선생님은 어떤 일을 하시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2998
68 41. [학교생활] 북한에도 어린이회나 학생회가 있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003
67 40. [학교생활] 북한의 학교 선후배간의 관계는 어떤가요? [레벨:20]관리자 2016-02-23 2977

list_1_22.jpg

chulpan.jpg